1. 람다식 람다식은 잦은 로직 변경을 처리하는 방법인 익명 중첩 클래스를 더 쉽고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. // 람다식의 형식 (자료형 매개변수, ...) -> { 구현내용부; } 익명 중첩 클래스와는 다르게 클래스 이름도 없고 오버라이딩하는 method 이름도 없다. 단순히 method의 매개 변수 영역만 코드로 되어 있다. 또한 ->을 통해 구현 내용부를 정의하고 있다. 람다식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. 구현하는 method가 하나일 때 람다식을 사용할 수 있다. 구현하는 인터페이스의 이름과 구현해야 하는 method의 이름은 생략하고, 매개 변수와 구현 내용부 사이에 -> 기호를 사용한다. 구현하는 method의 매개 변수 개수만큼 선언한다. 매개 변수의 이름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