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베이스

7. 관계 데이터 연산

YJH3968 2021. 9. 27. 14:44
728x90

1. 관계 데이터 연산의 개념

 - 관계 데이터 연산

  •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relation에 필요한 처리 요구를 수행하는 것
  •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이 있다.
    • 관계 대수 :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
    • 관계 해석 :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

 - 관계 대수

  •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relation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하는 언어
  • relation을 처리하는 연산자들의 모임으로 일반 집합 연산자와 순수 관계 연산자로 분류
  • 폐쇄 특성(closure property)이 존재 : 피연산자도 relation이고 연산의 결과도 relation이다.

 - 일반 집합 연산자

  • relation이 tuple의 집합이라는 개념을 이용하는 연산자
  • 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, cartesian product가 있다.
  • 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은 피연산자인 relation이 합병이 가능해야 한다. 즉, 두 relation의 차수가 같아야 하고, 두 relation에서 서로 대응되는 속성의 domain이 같아야 한다.

 - 순수 관계 연산자

  • relation의 구조와 특성을 이용하는 연산자
  • select, project, join, division이 있다.

 

출처 : 데이터베이스의 원리와 응용 강의

728x90